<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 전시 디자인
Even on the day when waiting ends
2025









경기도 미술관에서 주최한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는 인류가 초래한 기후 위기로부터 회복을 기원하는 마음을 전하는 전시입니다. 이 전시는 자연의 관점에서 인류의 회복되길 기원하는 공생의 이야기를 다양한 미술 작품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이 전시의 방향을 ‘회복의 풍경(A Panorama of Recovery)’로 정하고, 태초의 생명체를 상징하는 다양한 형태의 모티프를 개발했습니다. 자연 현상에서 발생하는 피보나치수열의 숫자로 증식하는 다양한 모티프는 서로가 한 데 모여 하나의 풍경(Panorama)을 연출합니다. 다양한 생명체의 풍경은 매체마다 다른 방식으로 재연되면서 전시의 맥락을 선명하게 전달합니다.
디자인. 김어진
개발. 양나원
사진. 김진솔
클라이언트. 경기도미술관
클라이언트. 경기도미술관
The exhibition <Even on the day when waiting ends>, hosted by the GMoMA(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conveys a wish for recovery from the climate crisis caused by humanity. This exhibition presents a story of symbiosis, wishing for humanity’s recovery from nature’s perspective, through diverse artworks.
Everyday Practice defined the exhibition’s direction as ‘A Panorama of Recovery’ and developed diverse motifs symbolizing primordial lifeforms. These motifs, proliferating through the Fibonacci sequence numbers found in natural phenomena, converge to create a single panorama. The panorama of diverse lifeforms is recreated in different ways across each medium, clearly conveying the exhibition’s context.
Design. Eojin Kim
Development: Nawon Yang
Photography. @jskstudio_official
Clinet. GMoMA
Client. 경기도미술관